반응형

폴리에텔에텔 케톤 PEEK vs 폴리이미드 PI 

 

PI와 PEEK는 고내열 소재로 얼핏 보면 특성이 유사해 보이며 실제로 많은 특성이 유사하여

적용처가 겹치는 경우도 많다. (고내열소재)

하지만 가장 큰 차이는 PEEK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며 PI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라는 점이다

내열적인 부분에서는 PI가 더 우수한편이며

가공성은 PEEK가 녹는 고분자이기 때문에 더 우수한 편이며 반면 PI는 가공에 한계가 있으며 소성이라는 공정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성 PEEK PI
내화학성 연료, 솔벤트 및 부식성 산에 대한 탁월한 내성 연료, 솔벤트 및 부식성 산에 대한 탁월한 내성
전기적 특성 탁월한 전기 절연 특성 및 낮은 전기 전도성. 탁월한 전기 절연 특성 및 낮은 전기 전도성
가연성 자기 -소화성, 낮은 인화성 자기 -소화성, 낮은 인화성
가공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융점이 있어 가공성 양호하나 높은 가공 온도에 의해 제한됨.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몰드 프로세스등으로 가공성이 제한됨
내마모성 높은 경도와 강도로 내마모성이 우수 높은 경도와 강도로 내마모성이 우수
피로 저항성 피로 저항성이 우수
인성이 높고 크리프가 낮음
피로 저항성이 우수
인성이 높고 크리프가 낮음
방사선 저항성 내방사성 우수, 높은 안정성 및 낮은 가스 방출 내방사성 우수, 높은 안정성 및 낮은 가스 방출

 

 

 

반응형

 

 

주요 특성의 차이이며

전반적으로 Polyimide가 우수하며 특히 내열적인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PEEK가 매우 고가의 플라스틱이지만 PI는 5배 이상 더 비싼 소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격적인 불리함 때문에 아직까지 PI 소재는 적용에 한계가 있는편이다.

Property PEEK Polyimide
Tm (°C) 330~350 융점 없음
Tg (°C) 140~160 350 ~ 550
Density (g/cm³) 1.30~1.33 1.38~1.43
Tensile Strength (MPa) 80-100 80~180
Flexural Strength (MPa) 130-160 200-450
Impact Strength (kJ/m²) 15-25 10-20
Heat Deflection Temperature (°C) 170-220 260-290
Water Absorption (24h) (%)  < 0.05  < 0.02
Thermal Conductivity (W/mK) 1.2-1.5 0.5-2.5
     

 

2023.01.24 - [고분자(Polyimer)] - 폴리이미드의 주요 특징 및 사용처, 가격등의 정보

 

폴리이미드의 주요 특징 및 사용처, 가격등의 정보

폴리이미드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화학적 저항성으로 알려진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의 한 종류이다. 전기 절연체, 항공우주 및 전자 장치와 같이 고온 저항이 필요한 용도에 자주 사용됩니다.

gemdu.tistory.com

2023.02.01 - [고분자(Polyimer)] - PEEK : 고성능 열가소성 고분자

 

PEEK : 고성능 열가소성 고분자

고성능 열가소성 폴리머 PEEK의 특성과 적용 PEEK(Polyetheretherketone)는 열가소성 폴리머로,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강도, 고온 저항성,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gemdu.tistory.com

2023.01.28 - [고분자(Polyimer)] - 폴리이미드(polyimide)의 결정성 및 이미드화 그와 관련된 영향 요소(factor)

 

폴리이미드(polyimide)의 결정성 및 이미드화 그와 관련된 영향 요소(factor)

폴리이미드의 온도와 이미드화율(index)의 상관 관계 이미드화 공정은 발열 반응으로, 중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열을 방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드화율은 온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온도

gemdu.tistory.com

2023.01.31 - [고분자(Polyimer)] - 폴리이미드 : 이미드화, 온도, 이미드화율간의 상관 관계

 

+ Recent posts